Skip to content

Commit af4b963

Browse files
committed
docs: PostHeader 추가에 따른 기존 제목 h1 마크다운 제거
1 parent 4a76c92 commit af4b963

15 files changed

+6
-35
lines changed

contents/posts/JavaScript/js-execution-context-part1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JavaScript 실행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? 실행 컨텍스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JavaScript Execution Context 실행 컨텍스트 - 개념편 (feat. 호이스팅, 스코프 체인, 클로저)
10-
119
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보면 반드시 마주치는 개념이 있습니다. 바로 **실행 컨텍스트**입니다.
1210

1311
실행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 동작원리의 핵심입니다. <br />

contents/posts/JavaScript/js-execution-context-part2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간단한 예제를 통해 실행컨텍스트가 어떻게 동작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JavaScript Execution Context 실행 컨텍스트 - 예제편 (feat. 호이스팅, 스코프 체인, 클로저)
10-
119
## 🤔 Recap
1210

1311
이전 글에서는 [JavaScript 실행 컨텍스트의 개념과 구성요소, Creation Phase와 Execution Phase](./js-execution-context-part1.md)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<br />

contents/posts/JavaScript/js-object-comparison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0,8 +10,6 @@ comment: true
1010
작성중인 게시글 또는 초안입니다.
1111
:::
1212

13-
# 🤔 객체리터럴 vs 정적메서드 vs 클래스 인스턴스 vs 클로저함수
14-
1513
자바스크립트는 객체리터럴, 정적메서드, 클래스 인스턴스, 클로저함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<br/>
1614
각각의 방식은 V8 엔진에서 최적화 되는 방식 (Ignition 인터프리터, TurboFan JIT 컴파일러 등) 과, 동작방식이 다릅니다. <br/>
1715
그렇다면 각각의 방식은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며, 성능적으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?

contents/posts/JavaScript/v8-how-the-value-stored.md

Lines changed: 3 additions & 3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11 +6,11 @@ description: JavaScript 에서는 숫자, 문자열, 불리언, 객체 등 다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::: danger
10-
작성중인 게시글 또는 초안입니다.
9+
:::warning
10+
아직 작성중이거나 검토중인 글입니다. 내용이 부정확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
1111
:::
1212

13-
# 🤔 JavaScript 값은 어디에 저장되나? (힙 or 스택)
13+
## 🤔 JavaScript 값은 어디에 저장되나? (힙 or 스택)
1414

1515
JavaScript에서는 숫자, 문자열, 불리언, 객체 등 다양한 값을 다룰 수 있습니다.
1616
일반적인 언어 지식에서는 "원시 값은 스택에 저장되고, 객체는 힙에 저장된다"고 배웁니다.

contents/posts/Next/next-rendering-patterns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3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,13 +1,11 @@
11
---
2-
title: Next.js Rendering Patterns 완벽 정리 (feat. SSG, SSR, ISR, CSR)
2+
title: Next.js Rendering Patterns (feat. SSG, SSR, ISR, CSR)
33
createdAt: 2024-10-09
44
category: NextJS
55
description: Next.js의 다양한 렌더링 패턴(SSG, SSR, ISR, CSR 등)에 대해 알아보고, 각 렌더링 패턴이 어떻게 동작하고, Core Web Vital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.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Next.js Rendering Patterns 완벽 정리 (feat. SSG, SSR, ISR, CSR)
10-
119
안녕하세요 NextJS 웹 프레임 워크에 대해 발표하게 된 김대건입니다
1210

1311
## ✍️ NextJS 란 ?

contents/posts/React/context-provider-hell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React Context API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'Context Pr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뭐? Context 가 복사가 된다고? (feat. Context Provider Hell)
10-
119
![Prop Drilling](./img/context-provider-hell/prop-drilling.png)
1210

1311
React 를 사용하다 보면 전역적인 상태나 설정을 공유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Context를 사용하게 됩니다. 테마, 인증정보, 폼 상태 ... 처음엔 편합니다. `<Provider/>` 로 감싸주면, 어디서든 데이터를 쉽게 꺼내쓸 수 있으니까요.

contents/posts/React/inf-scroll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React와 Intersection Observer API를 활용해 성능 최적화된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IntersectionObserver 로 무한 스크롤 구현하기 (with. Cursor Based Pagination)
10-
119
![alt text](./img/inf-scroll/inf-scroll-1.gif)
1210

1311
현대의 모바일 웹이나 앱에서 흔이 볼 수 있는 기능 중 하나가 바로 '무한 스크롤' 입니다.

contents/posts/React/kareer-fit-1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3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13 +6,11 @@ description: React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useState 대신 useRef를 사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React 렌더링 최적화 분투기 (useState 에서 useRef, 그리고 EventBus 아키텍쳐까지)
10-
119
:::warning
1210
아직 작성중이거나 검토중인 글입니다. 내용이 부정확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
1311
:::
1412

15-
## 🤔 가장 React스러운 방법이 항상 정답일까?
13+
# 🤔 가장 React스러운 방법이 항상 정답일까?
1614

1715
React 개발자라면 재렌더링을 위해 `useState`를 사용해 상태를 UI에 반영하는 '선언적인' 방식에 익숙하다
1816

contents/posts/React/react-create-portal-modal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React 에서 Modal 컴포넌트를 구현할때 단순히 z-index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엥? Modal 그거 z-index:99999 박으면 되는거 아님? (feat. createPortal과 Stacking Context)
10-
119
:::warning
1210
아직 작성중이거나 검토중인 글입니다. 내용이 부정확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
1311
:::

contents/posts/React/react-toastify.md

Lines changed: 0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8 +6,6 @@ description: 리액트에서 상태 관리와 렌더링은 보통 컴포넌트
66
comment: true
77
---
88

9-
# react-toastify 는 어떻게 리액트 렌더링사이클 밖에서도 토스트를 띄울수 있을까?
10-
119
리액트에서 상태 관리와 렌더링은 보통 컴포넌트 내부의 state, props를 통해 이루어집니다
1210

1311
그런데 `react-toastify` 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보면, "리액트 컴포넌트 바깥"에서, 즉 비동기 로직이나 이벤트 핸들러, API 응답 등 어디서든 토스트(알림)를 띄우는 기능이 존재합니다.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요?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